시간이 얼마나 빨리 지나가는지 라는 말처럼 상투적인 말을 매해 하게 되네. 지금 생각하면 통대 2년 어떻게 지나갔는지 모르겠고, 그 전에 회사 다닌 시간은 기억도 안 나고, 그보다 더더더더 전에 내가 프랑스에 잠시 잠깐 머물렀던 시간은 있었던 것 같지도 않다. 그 시간에 같이 머물렀던 이가 한 명도 남지 않은 지금은 더더욱 꿈 같이 느껴진다. 같은 시공간을 공유했던 이와의 현재적 관계란 중요한 거였어. 올 한 해는 또 어떻게 흘러갔나. 프리랜서 1년차로 사느라 수고했다. 작년 이맘 때 졸업 시험 직전이었고 내가 뭐해서 살 지 전혀 몰랐던 때를 돌이켜보면 지금 이 한 해의 삶이 그나마 최상의 시나리오에 들어간다는 것에 자축해야겠지. 1년은 버텨보자 라는 각오 뿐이었는데. 아직 1년이 채 되지 않았고 정확한..
화제의 노벨상 수상작을 읽었다. 노벨상 탔다고 해서 책을 사 보기는 처음이었다. 하지만 나 같은 사람이 많은지 책을 주문하고 받기까지 꽤 오랜 시간이 걸렸고, 책을 받아보니 수상 발표 후 새로 찍은 16쇄 판본이었다. 이 책을 뭐라고 이야기하면 좋을까. 그보다 먼저 나중에 이 책을 떠올리면 2017년 가을과 예술의 전당까지 왔다갔다 하는 출퇴근길, 그리고 토요일 오후의 조선일보 미술관 앞 카페가 생각날 것이다. 이렇게 떠올리면 그 시간, 그 장소가 떠오르는 책들이 있다. 박완서의 을 생각하면 봄날의 교토가 떠오르고, 줌파 라히리의 를 생각하면 한여름의 야쿠시마 섬, 그리고 가고시마가 생각난다. 하루키의 은 군산을 빼놓고 생각할 수가 없고, 는 2호선 출퇴근길과 평일밤 침대 위에서 마지막 장을 넘기던 순간..
12시가 좀 넘으면 잠이 온다. 비교적 쉽게 잠을 청하고 있다. 그런데 4-5시쯤 깨서 한 시간-한 시간 반 동안 잠을 다시 못 잔다. 쇼트 슬리퍼가 아니기에 저때 깨서 하루 시작을 못한다. 가족들 출근하는 시간까지 되어버리면 바깥에서 나는 소리에 잠을 더 못자고, 좀 조용해지면 1-2시간 더 자고 일어난다. 아침에 일찍 일어나야 해서 알람 맞추고 강제기상하지 않으면 대체로 요런 패턴. 밤에 팟캐스트 켜지 않고도 잠드는건 고무적이다. 중간에 깨는 것만 없으면 더 좋겠네. 배고파서 깨는가 싶었는데, 어제는 배불리 먹고 잤는데도 이러네. 온도 조절이 안되나.
한 번씩 소설이 읽고 싶어질 때가 있는데 지난 9월 말쯤 그런 바람이 불었나보다. 그러다 우연히 알라딘 중고서점에서 시간을 보내게 되었고, 그러다 우연히2 집어들고 집에 가져온 책. 장 폴 뒤부아는 말고는 모르는 사람이어서 어떤 글을 쓰는 사람인지 궁금했다. 오늘 지하철 막차를 타고 들어오며 마지막 장을 넘겼다. 이 책의 멋진 점: - 이혼한 안나가 한 번도 나오지 않는다 이 책을 읽으면서 생각난 책- 삶에서 어둡고 좁은 터널을 통과하는 사람들에게는 어쩐지 무작정 걷고 싶다는 욕망이 드는 것 같다. 예전에 읽었던 도 그런 느낌이었는데, 는 책의 모티브 자체가 그런 거였고, 에서는 잔잔한 호숫가에 와서 난데없이 죽을 것 같은 숲을 가로지르자는 생각이 들었다는 점이 다르지만. 이 책의 구린 점: - 그 죽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