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포스팅에 썼던 것처럼 6주차에 한 번 실패해서 재도전했던 데에 더해 이번주 건강검진으로 8주 3회차 마지막 코스를 원래 예정보다 이틀 정도 뒤에 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첫 런데이를 시작하고 58일만에 8주 트레이닝 코스를 완수했다. 6월 중순 시작해 기록적인 폭염과 무더위를 뚫고 지나온 여름이었다. 역병 2년차의 여름을 기록할만한 사건이었다. 25분 쉬지 않고 달리기를 한 8주 2회차를 지난 토요일에 끝내고, 화요일 오전 건강검진 때문에 월요일부터 금식을 해야했다. 월요일 저녁에 컨디션이 괜찮으면 뛸 수 있지 않을까? 했으나 나를 얕봐도 단단히 얕봤다. 월요일 오후부터 어지러워서 일조차 제대로 못하고 침대에 수시로 누워있었다 ㅋㅋㅋㅋㅋ 달리기는 커녕 현관문 밖을 나갈 수도 없었다 ㅋㅋㅋㅋㅋㅋ 건강검진..

무난하게 8주차까지 갈 것 같다고 한 사람 누구지요...? 폭염과 무더위를 얕보고 함부로 씨부린 나, 반성합니다. 무슨 일이든 방심과 과신이 최대의 적이라는 점을 이렇게 또 한 번 깨닫는다. 런데이 30분 달리기 트레이닝은 1분 달리기 인터벌 다섯번(달리기 중간에 2분 걷기)으로 시작해서 1분 달리기 여섯 번, 1분 30초 달리기 다섯 번, 1분 30초 달리기 6번, 2분 달리기 다섯 번 이런 식으로 조금씩 달리는 시간을 늘려나간다. 1분에서 1분 30초로, 1분 30초에서 2분으로, 2분에서 2분 30초로 시간이 늘어날 때 다섯번 달리기를 한 번 더 해서 안정감을 만들어주고 그다음 여섯번 달리기로 올려나가는 식이다. 이렇게 1분 달리기 다섯 번 총 5분 달리기에서 시작해 3분 달리기 여섯 번 총 18분..
생각만큼 순조롭게 5주차에 접어들었다. 이번 여름 비도 별로 오지 않아 비오는 날을 피해 일주일에 세 번 달리는 것도 크게 어렵지 않았다. 다만 여름은 여름인지라 확실히 해 있을 때 달리는 것은 무리다. 보통 해지고 밤에 달린 다음 집에 와서 에어컨 켜고 샤워하고 나와서 저녁 먹고 쉬다 자는 패턴을 유지하고 있다. 딱 한 번 해지기 전에 달렸는데 숨도 더 가쁘고 힘들었다. 여름철 달리기는 달밤에 하는 것이 정답인듯 하다. 늘 밤에만 달리다가 해가 떠 있을 때 달리니 안 보이던 것이 보였던 순간이 있다. 늘 다니던 길로 달리는데 나뭇가지 끝에 말라비틀어진 나뭇잎이 보였고, 거기에만 거미줄이 감겨있고 벌레들이 꼬여있더라. 건강한 나뭇잎에는 그런 벌레들을 이겨낼 수 있는 어떤 물질이 분비되고 있는게 아닐까. ..

달리기라는 운동에 처음 매력을 느낀 건 하루키 아저씨의 에세이를 보면서부터였다. 언제 어디서나 간단한 운동복과 운동화만 있으면 되는 운동, 평생 꾸준히 할 수 있는 운동이라는 게 멋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시작할 엄두는 안 났다. 20대 후반~30대 초반 동안 크로스핏에 푹 빠져 박스를 열심히 다닐 때도 가장 싫었던 와드 중에 체육관 바깥으로 나가서 동네 몇 바퀴를 달리는 시간이 꼭 들어갔다. 수영을 해도 등산을 해도 근육이 지치기보다 호흡이 먼저 가빠와서 더 하고 싶어도 할 수가 없었다. 폐활량이 딸리는 내가 어떻게 달려, 두통 오는거 아냐 라는 생각에 멋있지만 어쩐지 시작할 엄두가 안 났다. 그러다 작년 코로나 때문인지 주변에서 달리기를 시작하는 사람이 많아졌다. 체육관 폐쇄로 하던 운동들을 할 수 ..
잠이 안 와서 운동 이야기 조금 더. 현재 하는 운동: 일주일에 2회, 1시간 30분씩 그룹 수업의 탈을 쓴 사실상 피티 수업을 받고 있다. 기구 일체 안 쓰고 맨몸 운동 위주. 쓰는 기구는 밴드나 마사지볼 정도? 가끔 주위 사물을 이용하긴 한다. 벽이라든지 책상, 의자라든지. 과거 했던 운동: 여러 가지 있지만 한동안 등산 정말 좋아해서 자주 다녔는데 최근 몇 년 산 한 번을 못 가봤다. 마음의 여유가 생기면 산 다시 타고 싶은데 미세먼지 죽어라... 수영도 한동안 열심히 했는데 물개로 거듭나는데까지는 못 가고 물 무서워하는 거만 좀 사라진 수준. 잔잔한 바다에서 멱 감고 노는거 좋아한다. 자전거는 운동이 아니라 동네 이동하는 주요 교통 수단. 겨울인데다 현재 자전거 상태가 안 좋아서 봄 되면 새 자전..
노브라가 짱이시고 겨울은 진짜 옷 챙겨입어야 하는 때 아니면 거의 항상 노브라로 산다. 그런데 운동할 때는 노브라보다 스포츠 브라 하는게 더 편하니까 항상 운동 가서 옷 갈아입을 때만 스포츠 브라 하거나, 아니면 집에서 바로 운동하러 갈 때는 운동복 입고 바로 체육관 가니까 그때는 집에서 하고 간다. 가지고 있는 스포츠 브라 중에 사이즈가 하나 살짝 작은게 있는데 이게 막 엄청 크리티컬한 정도는 아니어서 버리거나 안 입긴 뭐해서 자주 손이 가진 않는다. 그런데 오늘은 운동 가려니 하필 그 브라 말고는 스포츠 브라가 없었고 그걸 입고 집을 나섰다. 요즘 운동하는 곳은 집에서 마을 버스 타고 15분 정도 가야하는 곳인데, 집을 나서자마자 미세한 두통이 생기더니 운동 시작하려니 점점 더 심해졌다. 급기야 몸 ..
블로그 포스팅이 어쩐지 먹고사니즘에 대한 얘기 뿐이네. 2017년의 내가 그런 거겠지. 이번주를 마지막으로 아마 체육관을 그만 다닐 것 같다. 다른 수업으로 옮겨가기에 비용, 수업 구성 등등이 맞지가 않다. 바라는 것은 지금 코치 선생님이 11월 정도에 근처 체육관에 재취직하는 거다ㅜㅜ 선생님한테 빌고 있다 ㅋㅋㅋㅋㅋ 한 달만 놀고 다시 돈 벌라고 ㅋㅋㅋㅋ 10월 초는 어차피 추석이라 다 쉬는 기간이니 혼자 자전거나 타고 집에서 스트레칭이라도 하면 다행. 체육관에서 항상 수업 전에 마사지볼이나 폼롤러로 몸 풀고 시작했는데, 집에 하나 사둘까도 생각 중이다. 요가, 수영 다 빼고 크로스핏부터만 쳐도 2012년부터 운동했으니 만 5년은 한 셈인데 운동복이라고 스포츠 브라 두 개, 반바지 두 개, 칠부바지 하..
회사 다니다 그만둘 결심을 하고 통대 입시 생활을 견디게 해준 것이 크로스핏 덕이었다면, 졸업 후 프리랜서 1년차를 버티게 해주고 있는 것이 바로 GFM 덕이다. 코치 선생님과 같은 클래스의 운동 메이트에게 절이라도 해야할 판. 하지만 선생님이 빠르면 이번 달, 늦으면 다음 달에 그만둔다고 어제 얘기를 듣고 하늘이 무너져내려... 심지어 GFM 클래스는 없어질 거고 다른 체육관을 알아보든지 지금 체육관에서는 캐틀벨 클래스로 옮겨가든지 해야 한다고.... 마땅한 체육관을 찾는게 쉬운 일이 아니기에 아마 다른 수업으로 옮겨가겠지만, GFM이 좋그등요... 기구 따위 필요 없다 내 몸만 있으면 돼. GFM 하는 체육관 찾아 삼만리할 자신도 없고 근접성 받쳐주면서 좋은 선생님 있는 체육관 찾기란 정말정말 힘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