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구성하는 것 중 무엇을 읽었는지가 많은 것을 설명해 줄 수 있을 것 같아 간단하게 리스트만 적어보는 포스팅. 상반기 무렵 이라는 포스팅을 이미 한 차례 적긴 했다. 사서 읽고 빌려서 읽고 이래저래 읽은 책들의 목록 되시겠다. - 마르틴 베크 시리즈: , , , , , , , - 구병모: , , , , , - 박완서: , , - 앤디 위어, - 은모든, - 케이튼 비턴, - 김창준, - 앤서니 호로위츠, - 캐럴라인 냅: , - 토스, - 알렉스 쉬, - 이옥선, - 이다, - 이웅모, - 신현호, - 앤절라 더크워스, - 오지은, - 정지섭, - 조영호, - 헨릭 크니버그, - 조지프 엡스타인, - 헨리 뢰디거 외, - 수전 케인, - 하지현, - 존 야블론스키, - 박상현, - 카렐 차페크, ..
최근 전혀 다른 루트의 지인 두 명과 동거인과 함께 사는 삶이 알게 모르게 시간을 얼마나 저당(?)잡히는 것인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 일이 있었다. 첫 번째는 내가 요즘 가장 부족한 게 시간이라는 얘기를 하니 "같이 살아서 그러는 거 아니냐"고 했다. 실제로 같이 살지 말지 고민하던 시기에 가장 큰 화두가 개인 시간에 대한 것이었다. 둘 다 혼자 살고 있기도 했고, 고요한 개인 시간을 필요로 하는 인간들이어서 같이 살아도 이런 시간을 확보할 수 있을까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나누었다. 트라이얼 기간을 가지다 아예 집을 합친지도 이제 몇 년이 되었고, 그 당시 했던 고민이 무색하게 함께 하지만 필요한 만큼 각자의 시간을 잘 보내고 있다고 생각하던 와중이라 친구의 질문에 그런가? 하며 갸우뚱했다. 두 번째는 ..
한 달 전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소식이 들려왔다. 모국어로 쓰인 글을 읽는 즐거움에 대해 다시 한 번 감사하는 마음이 드는 사건이었다. 한강의 주요 작품들은 이미 애지간히 읽었고, 다시 읽어보고 싶은 마음은 아마 향후 20년 정도는 들지 않을 것 같다. (인간의 뇌는 직접 경험과 간접 경험을 구분하지 못한다고 하던데 컨텐츠 소비로 인한 감정적 힘듦을 감당할 여력이 없는 나날이다.) 그 대신 주변에서 한강의 인터뷰 기사나 팟캐스트 링크 등을 전해주어 오가는 길에 그의 긴 인터뷰들을 읽고 듣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자신 안에 있는 질문들에 대한 답은 아직 찾지 못했지만 그 질문들을 마주하고자 하는 것이 그의 글쓰기라는 말이 울림으로 다가왔다. 나는 어떠한 질문들을 마주하며 살아가고 있는지 생각해보게 되..
느즈막히 오전이 다 지나가 침대에서 일어나 팬케이크 구워 먹고 세탁기 한 번 돌려서 빨래 널고 청소기도 한 번 돌리고 운동화에 옷 가볍게 챙겨입고 나서 좋아하는 카페에 가서 따뜻한 커피 한 잔 호로록 마시고 근처 뒷산에 올라 전망대에서 북한산에 지는 산 그림자 구경하고 둘레길 슬쩍 돌고 내려와 집 앞에서 뜨끈한 돼지곰탕 한 그릇 먹고 귀가하여 따뜻한 물에 샤워하고 로스트 한 편 보고 잘 준비하는 완벽한 가을날. 어디 멀리 가는 여행보다 지금은 이게 딱 좋다. 이 모든 걸 시작부터 끝까지 함께 할 수 있는 이가 있어서 더 좋아.